몽장(蒙藏)관계의 역사적 연속성과 하서(河西)

Translated title of the contribution: 蒙藏關系之歷史延續性和河西地區

Research output: Contribution to journalArticlepeer-review

Abstract

蒙藏관계의 연구는 흔히 몽골과 티벳(靑藏고원)이라는 두 지역 사이에 전개된 역사상을 재구성하는 것을 주요한 과제로 삼고 있다. 시기적으로는 대개 13세기 몽골 제국의 출현 이후를 중심으로 하는데, 이는 당시 본격화 되는 몽골 제국의 티벳 지배가 두 지역을 직접적으로 연결시키는 계기가 되었다고 보기 때문이다. 중국사를 자국사로서 다루고 있는 연구자들에게, 元明淸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티벳이 중국사 구성 요소의 일부로서 자리하는 시원의 의미를 갖는다는 점에서 元代, 즉 몽골 제국기 티벳과 몽골의 관계는 의미 깊다. 물론 민족명 또는 지역명으로서 몽골이라는 용어는 칭기스칸이 이끄는 몽골 제국 성립 이후 오랜 국가통합 과정을 거치면서 등장한 것이므로, 몽골초원과 기타 지역과의 관계를 다루는 데서도 몽골제국 성립 이후부터 이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 논리적으로 타당하겠다. 그렇다고 몽골 초원과 티벳 고원의 관계 자체를 몽골 시대 이후로 한정해 설명해서는 안 될 것이니, 匈奴, 鮮卑, 柔然등 몽골 출현 이전중원 북방에 펼쳐진 초원(고원) 지대와 티벳 고원 동부의 여러 선주민집단 간 교류는 활발히 전개되고 있었으므로 이를 논외로 한 몽장 관계 연구는 티벳사의 중국사 편입을 역사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의도와 멀리 있지 않다. 따라서 필자는 몽골과 티벳 지역을 오가며 활동했던여러 유목계 정권의 활동을 몽골 시대 이후로 한정시키지 않고 통시적으로 이해할 필요를 제기하였다.
Translated title of the contribution蒙藏關系之歷史延續性和河西地區
Original languageChinese (Simplified)
Pages (from-to)100-121
Number of pages22
Journal중국사연구
Volume80
StatePublished - Oct 2012

Cite this